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잔여지분2

재무보고를 위한 개념체계 | 14. 측정기준 재무제표에 인식된 요소들은 화폐단위로 수량화되어 있다. 이를 위해 측정기준을 선택해야 한다. 측정기준은 측정 대상 항목에 대해 식별된 속성(ex. 역사적 원가, 공정가치 또는 이행가치)이다. 자산이나 부채에 측정기준을 적용하면 해당 자산이나 부채, 관련 수익과 비용의 측정치가 산출된다. 유용한 재무정보의 질적 특성과 원가제약을 고려함으로써 서로 다른 자산, 부채, 수익과 비용에 대해 서로 다른 측정기준을 선택하는 결과가 발생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개별 기준서에는 그 기준서에서 선택한 측정기준(ex. 재고자산 기준서의 순실현가능가치)을 적용하는 방법이 기술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개념체계는 측정기준을 역사적 원가와 현행가치로 분류하며, 현행가치 측정기준은 다음을 포함한다. 공정가치자산의 사용가치 .. 2025. 4. 25.
재무보고를 위한 개념체계 | 11. 자본의 정의 자본은 기업의 자산에서 모든 부채를 차감한 후의 잔여지분이다. 자본청구권은 기업의 자산에서 모든 부채를 차감한 후의 잔여지분에 대한 청구권이다. 즉, 부채의 정의에 부합하지 않는 기업에 대한 청구권이다. 그러한 청구권은 계약, 법률 또는 이와 유사한 수단에 의해 성립될 수 있으며, 부채의 정의를 충족하지 않는 한, ① 기업이 발행한 다양한 유형의 지분 ② 기업이 또 다른 자본청구권을 발행할 의무를 포함한다. 1. 기업이 발행한 다양한 유형의 지분은 보통주와 우선주라고 생각하면 될 것이다.2. 기업이 또 다른 자본청구권을 발행할 의무는 전환권대가 또는 신주인수권대가라고 생각하면 될 것이다. 법률, 규제 또는 그 밖의 요구사항이 자본금 또는 이익잉여금과 같은 자본의 특정 구성요소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있.. 2025. 4. 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