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유용한 지식49 공정가치 측정 | 3. 비금융자산의 공정가치 측정 비금융자산(ex. 토지나 건물 같은 유형자산이나 무형자산 등)의 공정가치를 측정하는 경우에는 시장참여자가 경제적 효익을 창출하기 위하여 그 자산을 최고 최선으로 사용하거나 혹은 최고 최선으로 사용할 다른 시장참여자에게 그 자산을 매도하는 시장참여자의 능력을 고려한다. 최고 최선의 사용은, 기업이 다르게 사용할 의도가 있더라도 시장참여자의 관점에서 결정된다. 그러나 시장참여자가 비금융자산을 다르게 사용하여 그 가치를 최대화할 것이라는 점을 시장이나 기타 요소가 제시하지 않는 한 기업의 비금융자산의 현재의 사용을 최고 최선의 사용으로 간주한다. 경쟁력있는 지위를 보호하기 위하여, 혹은 그 밖의 이유로 취득한 비금융자산을 활발히 이용하지는 않으려고 하거나 최고 최선으로 자산을 사용하지는 않으려고 할 수 있.. 2025. 5. 9. 공정가치 측정 | 2. 측정 공정가치측정은 자산을 매도하거나 부채를 이전하는 거래가 다음 중 어느 하나의 시장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가정한다. 자산이나 부채의 주된 시장자산이나 부채의 주된 시장이 없는 경우에는 가장 유리한 시장 주된 시장(principal market)은 해당 자산이나 부채에 대한 거래의 규모와 빈도가 가장 큰 시장을 말한다. 가장 유리한 시장(most advantageous market)은 거래원가나 운송원가를 고려했을 때 자산을 매도하면서 수취하는 금액을 최대화하거나 부채를 이전하면서 지급하는 금액을 최소화하는 시장을 말한다. 자산이나 부채의 공정가치를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주된 (또는 가장 유리한) 시장의 가격에서 거래원가는 조정하지 않는다. 거래 원가는 다른 기준서에 따라 회계처리한다. 거래원가.. 2025. 5. 1. 공정가치 측정 | 1. 공정가치의 정의 공정가치(fair value)는 측정일에 시장참여자 사이의 정상거래에서 자산을 매도하면서 수취하거나 부채를 이전하면서 지급하게 될 가격을 말한다. 공정가치는 시장에 근거한 측정치이며 기업 특유의 측정치가 아니다. 공정가치는 자산을 보유하거나 부채를 부담하는 시장참여자의 관점에서 측정일의 유출가격이다. 즉, 자산이나 부채를 제거한다고할 때의 가격이란 의미이다. 1. 정상거래는 측정일 이전에 일정 기간 동안 해당 자산이나 부채와 관련되는 거래를 위한 통상적이고 관습적인 마케팅활동을 할 수 있도록 시장에 노출되는 것을 가정하는 거래. 즉 강제된 거래(ex. 강제 청산 또는 재무적 어려움에 따른 매각)가 아니다.2. 기업은 시장참여자가 경제적으로 최선의 행동을 한다는 가정하에 시장참여자가 자산이나 부채의 가.. 2025. 5. 1. 상각후원가 측정 | 3. 회계처리 최초 인식할 때 현재가치로 측정한 자산과 부채는 현금을 수령하거나 지급하는 기간 동안 이자수익과 이자비용을 인식한다. 각 회계기간 별로 인식할 이자수익과 이자비용은 자산과 부채의 기초 장부금액에 유효이자율을 곱하여 계산한다. 각 회계기간 이자수익(비용) = 자산과 부채의 기초 장부금액 x 유효이자율 유효이자율법으로 계산된 유효이자와 표시이자의 차액은 자산과 부채의 장부금액에 가감된다. 유효이자와 표시이자의 차액을 상각액이라고 한다. 따라서 특정 시점 자산과 부채의 장부금액은 이전 장부금액에 상각액이 가감되고 수수되는 명목금액만큼 차감되어 결정되는데, 이렇게 결정된 장부금액을 상각후원가라고 한다. 상각후원가는 금융자산이나 금융부채의 최초인식시점의 측정금액에서 상환된 원금을 차감하고, 최초인식금액과 만기.. 2025. 4. 26. 상각후원가 측정 | 2. 재무회계의 적용 미래현금흐름이 장기간에 걸쳐 발생하는 자산과 부채는 현재가치로 측정한다. 단기수취채권과 단기지급채무는 명목금액과 현재가치의 차이가 중요하지 않기 때문에 현재가치로 측정하지 않는다. 장기성 채권과 채무는 장기연불조건의 매매거래나 장기금전대차거래에서 발생한다. 장기연불조건의 매매거래는 거래의 대상이 재화나 용역인 경우를 말한다. 즉, 재화나 용역의 대가를 외상으로 하는 거래이다. 장기금전대차거래는 거래의 대상이 금전인 경우를 말한다. 즉, 자금을 대여하고 차입하는 거래이다. 구분계정과목장기연불조건자산장기매출채권, 장기미수금 등부채장기매입채무, 장기미지급금 등장기금전대차거래자산투자채무상품, 장기대여금 등부채사채, 장기차입금 등 자산과 부채의 명목 미래현금흐름 현재가치를 측정할 때 사용하는 할인율을 유효이자.. 2025. 4. 26. 상각후원가 측정 | 1. 화폐의 시간가치 화폐의 가치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달라진다. 즉, 동일한 현금이라면 미래의 현금보다 현재의 현금이 더 가치가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미래의 현금보다 현재의 현금을 선호하기 때문이며, 이를 유동성 선호(liquidity preference)라고 한다. 현재의 현금을 소비할 수 있는 기회를 미래로 연기하게 되면 적절한 대가를 요구하며, 이를 이자라고 한다. 이 때 현재의 현금에 대한 이자의 비율을 이자율, 할인율, 또는 수익률이라고 한다. 현재가치 + 이자 = 미래가치현재가치 x (1 + 이자율) = 미래가치미래가치 / (1 + 이자율) = 현재가치 2025. 4. 25. 이전 1 2 3 4 ··· 9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