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회계의 정의
회계(accounting)란 정보이용자가 합리적인 판단이나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경제적 정보를 식별하고 측정하여 전달하는 과정으로 정의된다. 이는 미국회계학회의 기초적 회계이론에 관한 보고서(ASOBAT ; a statement of basic accounting theory, 1966)에서 내린 정의로 오늘날 널리 받아들여 지고 있다.
이러한 정의는 회계실체의 거래나 사건을 기록/분류/요약/해석하는 기술(art)로 보아 회계 정보의 생산측면만을 강조한 과거의 정의에서 탈피하여 회계정보의 이용측면까지를 강조하고 있다. 이는 회계를 하나의 정보시스템으로 보는 견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회계정보를 경제적 정보로 간주하여 재무적 정보와 과거정보뿐만 아니라 비재무적 정보와 미래정보도 포함하고 있음을 암시하고 있다.
구분 | 내용 |
재무적정보 | 화폐로 측정 가능한 정보로 기업의 재무상태와 재무성과에 대한 정보 등 |
비재무적정보 | 화폐로 측정 불가능한 정보로 경영진의 능력, 기업의 이미지, 기업이 속한 산업의 동향 등 |
2. 회계의 분류
회계정보이용자는 투자자, 대여자 및 기타채권자 등 외부정보이용자와 경영진과 같은 내부정보이용자로 분류되며, 회계는 이러한 회계정보이용자에 따라 재무회계와 관리회계로 구분한다.
재무회계(Financial accounting)는 외부정보이용자의 경제적 의사결정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회계이다. 즉, 기업의 재무상태, 경영성과 및 재무상태의 변동내용 등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재무회계는 다양한 정보이용자의 의사결정에 필요한 공통적인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일반목적 회계(accounting for general purpose)라고 하며, 일반적으로 인정된 회계원칙에 따라 재무제표라는 보고서로 공표된다.
관리회계(managerial accounting)는 경영진의 관리적 의사결정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회계이다. 즉, 경영진의 의사결정 문제와 관련된 개별적이고 직접적인 형태의 정보를 제공한다. 관리회계는 경영진의 의사결정에 필요한 적합한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특수목적 회계(accounting for special purpose)라고 하며, 재무제표와 같은 보고양식이나 일반적인 회계원칙을 필요로 하지 앟는다.
한편, 제조기업의 원가계산은 외부보고목적으로 공시되는 재무제표에 포함될 재고자산 및 매출원가의 결정과 관련이 있으므로 재무회계의 일부이다. 다만, 관리회계가 원가정보에 기초한 의사결정을 중심으로 발전해 왔기 때문에 관리회계에서 제품원가ㅖ산을 같이 다루고 있다.
구분 | 재무회계 | 관리회계 |
목적 | 외부보고목적 | 내부보고목적 |
정보이용자 | 외부정보이용자(투자자, 대여자 등) | 내부정보이용자(경영진) |
보고수단 | 일반목적 재무제표 | 특수목적 보고서 |
보고시기 | 회계기간말 등에 정기적으로 보고 | 필요에 따라 수시로 보고 |
정보의 내용 | 과거사건의 결과에 대한 정보 | 과거사건의 결과 및 미래예측 정보 |
작성원칙 | 일반적으로 인정된 회계원칙 | 일반적인 기준이 없음 |
3. 회계의 사회적 역할
(1) 사회적 자원의 효율적 배분
사회적 자원(social resources)은 희소자원으로서 한정되어 있다. 따라서 사회 전체적으로 볼 때 사회적 자원이 적절하게 배분되고 효과적으로 이용되도록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사회적 자원의 최적배분은 각 경제주체가 자신들이 소유하고 있는 경제적 자원을 최적 배분할 때 달성될 수 있다.
회계는 각 경제주체의 합리적 의사결정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회적 자원의 최적 배분에 기여하고 있는 것이다. 즉, 회계는 특정 기업의 생산 효율성에 대한 정보를 각 경제주체에 제공하여 그들이 투자나 신용제공(자금대여, 외상거래)에 있어 최선의 선택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회계정보는 특정 기업 스스로 자신의 경제적 자원을 최적 배분할 수 있도록 하는데 도움을 제공한다.
결국 회계는 개인, 기업 및 국가 등 경제주체가 최선의 경제적 의사결정을 하여 사회적 자원이 효율적으로 배분되도록 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다.
(2) 경영진의 수탁책임보고
경영진은 주주들로부터 기업의 경제적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경영할 권한을 위임받았다. 이를 수탁책임이라고 한다. 경영진은 이러한 수탁책임을 효과적으로 수행하였는지 여부를 주주들에게 보고하여야 하며, 이러한 보고는 재무회계정보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구분 | 내용 | |
주주의 권리 | 잔여재산청구권 | 주식을 발행한 회사가 해산 또는 청산하는 경우 자산에서 부채를 차감한 잔여재산을 가져갈 수 있는 권리를 말한다. |
의결권 | 주주총회의 의결사항에 대한 투표권을 말하며, 1주에 1개의 의결권을 갖는다. | |
배당받을 권리 | 회사가 영업활동 결과 증가한 순자산 중 주주에게 배당을 하는 경우 발행주식총수에서 주주가 소유한 주식수의 비율만큼 배당을 받을 권리를 말한다. | |
주주의 책임 | 간접유한책임 | 회사가 자산보다 부채가 많은 상태에서 파산하는 경우 회사의 채무를 상환할 의무가 없고, 출자한 자금만 포기하면 되는 책임을 말한다. |
'유용한 지식 > 경영경제금융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회계기준의 형식 (0) | 2025.04.14 |
---|---|
회계원칙 제정방법 (0) | 2025.04.13 |
회계원칙 제정의 필요성 (0) | 2025.04.12 |
회계정보의 수요와 공급 (0) | 2025.04.12 |
주식 Q&A와 Tip (0) | 2024.05.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