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용한 지식/-

재무보고를 위한 개념체계 | 6. 재무제표와 보고기업

by 브릭커 2025. 4. 18.
반응형

1. 재무제표 목적과 범위

 재무제표의 목적은 보고기업에 유입될 미래순현금흐름에 대한 전망과 보고기업의 경제적 자원에 대한 경영진의 수탁책임을 평가하는 데 유용한 보고기업의 자산, 부채, 자본, 수익 및 비용에 대한 재무정보를 재무제표이용자들에게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정보는 다음을 통해 제공된다.

 

  1. 자산, 부채 및 자본이 인식된 재무상태표
  2. 수익과 비용이 인식된 재무성과표
  3. 다음에 관한 정보가 표시되고 공시된 다른 재무제표와 주석
    - 인식된 자산, 부채, 자본, 수익 및 비용. 그 각각의 성격과 인식된 자산 및 부채에서 발생하는 위험에 대한 정보를 포함
    - 인식되지 않은 자산 및 부채. 그 각각의 성격과 인식되지 않은 자산과 부채에서 발생하는 위험에 대한 정보를 포함
    - 현금흐름
    - 자본청구권 보유자의 출자와 자본청구권 보유자에 대한 분배
    - 표시되거나 공시된 금액을 추정하는 데 사용된 방법, 가정과 판단 및 그러한 방법, 가정과 판단의 변경

 

개념체계에서 는 포괄손익계산서를 재무성과표라고 표현하고 있으며, 개념체계에서는 현금흐름표와 자본변동표를 주석과 함께 다른 재무제표와 주석으로 표현하고 있다. 재무제표 표시기준서는 재무제표를 재무상태표, 포괄손익계산서, 자본변동표, 현금흐름표 및 주석으로 분류한다.

 

재무제표는 기업의 현재 및 잠재적 투자자, 대여자와 그 밖의 채권자 중 특정 집단의 관점이 아닌 보고기업 전체의 관점에서 거래 및 그 밖의 사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2. 보고기간

 재무제표이용자들이 변화와 추세를 식벼라혹 평가하는 것을 돕기 위해, 재무제표는 최소한 직전 연도에 대한 비교정보를 제공한다. 재무제표는 특정 기간(보고기간)에 대하여 작성되며 다음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1. 보고기간말 현재 또는 보고기간 중 존재했던 자산과 부채(미인식된 자산과 부채 포함) 및 자본
  2. 보고기간의 수익과 비용

 

미인식된 자산과 부채가 이용자의 의사결정에 유용하다고 판단되면 주석으로 공시될 것이다.

 

 다음에 모두 해당하는 경우에는 미래에 발생할 수 잇는 거래 및 사건에 대한 정보 즉, 미래 전망 정보를 재무제표에 포함한다.

 

  1. 그 정보가 보고기간말 현재 또는 보고기간 중 존재했던 실체의 자산, 부채(미인식 자산이나 부채 포함)나 자본 또는 보고기간의 수익이나 비용과 관련된 경우
  2. 재무제표이용자들에게 유용한 경우

 

 예를 들어, 미래현금흐름을 추정하여 자산이나 부채를 측정한다면, 그러한 추정 미래현금흐름에 대한 정보는 재무제표이용자들이 보고된 측정치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재무제표는 다른 유형의 미래전망 정보(ex. 보고기업에 대한 경영진의 기대와 전략에 대한 설명자료)를 제공하지는 않는다.

 

재무제표에 포함되는 미래 전망 정보는 자산이나 부채를 측정할 때 사용하는 추정 미래현금흐름에 대한 정보 같은 것이며, 경영진의 기대와 전략에 대한 설명자료 같은 미래 전망 정보는 아니라는 의미이다.

 

 

3. 계속기업 가정

 재무제표는 일반적으로 보고기업이 계속기업이며 예측가능한 미래에 영업을 계속할 것이라는 가정 하에 작성된다. 따라서 기업이 청산을 하거나 거래를 중단하려는 의도가 없으며, 그럴 필요도 없다고 가정한다. 만약 그러한 의도나 필요가 있다면, 재무제표는 계속기업과는 다른 기준에 따라 작성되어야 한다. 그러한 경우라면, 사용된 기준을 재무제표에 기술한다.

 

재무제표가 계속기업의 기준하에 작성되지 않는 경우에는 그 사실과 함께 재무제표가 작성된 기준 및 그 기업을 예속기업으로 보지 않는 이유를 공시(주석공시)하여야 한다.

 

 

4. 보고기업

 보고기업은 재무제표를 작성해야 하거나 작성하기로 선택한 기업이다. 보고기업은 단일의 실체이거나 어떤 실체의 일부일 수 있으며, 둘 이상의 실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보고기업이 반드시 법적 실체일 필요는 없다.

 

 한 기업(지배기업)이 다른 기업(종속기업)을 지배하는 겅우가 있다. 보고기업이 지배기업과 종속기업으로 구성된다면 그 보고기업의 재무제표를 연결재무제표라고 부른다. 보고기업이 지배기업 단독인 경우 그 보고기업의 재무제표를 비연결재무제표라고 부른다.

 

기준서는 비연결재무제표(지배기업 단독의 재무제표)를 별도재무제표라고 하며, 특정 기업에 대해서 지배력을 획득하지 못한 단일 기업의 재무제표를 개별재무제표라고 한다.

 

 한편, 보고기업이 지배-종속관계로 모두 연결되어 있지는 않은 둘 이상 실체들로 구성된다면 그 보고기어의 재무제표를 결합재무제표라고 부른다.

 

김갑동이라는 개인이 (주)한국의 주식을 60% 보유하여 (주)한국을 지배하고, (주)서울의 주식을 80% 보유하여 (주)서울을 지배하고 있는 경우, 김갑동 개인을 중심으로 (주)한국과 (주)서울을 합하여 작성하는 재무제표를 결합재무제표라고 한다. 과거 우리나라에서 작성한 적이 있지만, 지금은 작성하지 않는다.

 

구분 내용
연결재무제표 지배기업과 종속기업으로 구성된 재무제표
비연결재무제표 지배기업 단독의 대무제표
결합재무제표 지배와 종속 관계가 없는 둘 이상의 실체로 구성된 재무제표

 

1. 보고기업이 ①법적 실체가 아니며 ②지배-종속관계로 연결된 법적 실체들로만 구성되어 있지는 않는 경우, 보고기업의 적절한 경계를 결정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보고기업의 경계는 보고기업의 재무제표의 주요이용자들의 정보 수요에 맞춰 결정한다. 주요이용자들은 목적적합하고 나타내고자 하는 바를 충실하게 표현하는 정보를 필요로 한다.

2. 연결재무제표는 단일의 보고기업으로서의 지배기업과 종속기업의 자산, 부채, 자본, 수익 및 비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 정보는 지배기업의 현재 및 잠재적 투자자, 대여자와 그 밖의 채권자가 지배기업에 유입될 미래현금흐름에 대한 전망을 평가하는 데 유용하다.

3. 연결재무제표는 특정 종속기업의 자산, 부채, 자본, 수익 및 비용에 대한 별도의 정보를 제공하도록 만들어지지 않았따. 종속기업 자체의 재무제표가 그러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만들어져 있다.

4. 비연결재무제표는 종속기업에 대해서가 아닌 지배기업의 자산, 부채, 자본, 수익 및 비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만들어졌다. 그러한 정보는 지배기업의 현재 및 잠재적 투자자, 대여자와 그 밖의 채권자에게 유용할 수 있다.

5. 지배기업만의 자산, 부채, 자본, 수익 및 비용의 일부 또는 전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또다른 방법은 그러한 정보를 연결재무제표의 주석에 기재하는 것이다. (연결재무제표에서 지배기업만의 정보는 주석으로 제공된다는 의미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