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권리2

재무보고를 위한 개념체계 | 10. 자산과 부채에 대한 회계단위 회계단위는 인식기준과 측정개념이 적용되는 권리나 권리의 집합, 의무나 의무의 집합 또는 권리와 의무의 집합이다. 인식기준과 측정개념이 자산이나 부채 그리고 관련 수익과 비용에 어떻게 적용될 것인지를 고려하여, 그 자산이나 부채에 대해 회계단위를 선택한다. 어떤 경우에는 인식을 위한 회계단위와 측정을 위한 회계단위를 서로 다르게 선택하는 것이 적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계약은 개별적으로 인식될 수 있지만 계약포트폴리오의 일부로 측정될 수도 있다. 표시와 공시를 위해 자산, 부채, 수익 및 비용은 통합하거나 구성요소로 분리하여야 할 수 있다. 1. 토지와 건물을 일괄 취득하는 경우취득대가는 토지와 건물을 합하여 측정되지만, 인식할 때는 토지와 건물을 나누어 한다. 즉, 측정을 위한 회계단위는 토지와 건물.. 2025. 4. 21.
재무보고를 위한 개념체계 | 8. 자산의 정의 자산은 과거사건의 결과로 기업이 통제하는 현재의 경제적자원이다. 경제적자원은 경제적효익을 창출할 잠재력을 지닌 권리이다. 1. 권리 경제적효익을 창출할 잠재력을 지닌 권리는 다양한 형태를 갖으며, 다른 당사자의 의무에 해당하는 권리와 다른 당사자의 의무에 해당하지 않는 권리의 예는 다음과 같다. 다른 당사자의 의무에 해당하는 권리1) 현금을 수취할 권리 (ex. 매출채권, 미수금 등)2) 재화나 용역을 제공받을 권리 (ex.선급금, 선급비용 등)3) 유리한 조건으로 다른 당사자와 경제적자원을 교환할 권리. (ex. 현재 유리한 조건으로 경제적자원을 구매하는 선도계약 또는 경제적자원을 구매하는 옵션)4) 불확실한 특정 미래사건이 발생하면 다른 당사자가 경제적효익을 이전하기로 한 의무로 인해 효익을 얻을 권.. 2025. 4. 1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