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상각후원가2 상각후원가 측정 | 3. 회계처리 최초 인식할 때 현재가치로 측정한 자산과 부채는 현금을 수령하거나 지급하는 기간 동안 이자수익과 이자비용을 인식한다. 각 회계기간 별로 인식할 이자수익과 이자비용은 자산과 부채의 기초 장부금액에 유효이자율을 곱하여 계산한다. 각 회계기간 이자수익(비용) = 자산과 부채의 기초 장부금액 x 유효이자율 유효이자율법으로 계산된 유효이자와 표시이자의 차액은 자산과 부채의 장부금액에 가감된다. 유효이자와 표시이자의 차액을 상각액이라고 한다. 따라서 특정 시점 자산과 부채의 장부금액은 이전 장부금액에 상각액이 가감되고 수수되는 명목금액만큼 차감되어 결정되는데, 이렇게 결정된 장부금액을 상각후원가라고 한다. 상각후원가는 금융자산이나 금융부채의 최초인식시점의 측정금액에서 상환된 원금을 차감하고, 최초인식금액과 만기.. 2025. 4. 26. 상각후원가 측정 | 1. 화폐의 시간가치 화폐의 가치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달라진다. 즉, 동일한 현금이라면 미래의 현금보다 현재의 현금이 더 가치가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미래의 현금보다 현재의 현금을 선호하기 때문이며, 이를 유동성 선호(liquidity preference)라고 한다. 현재의 현금을 소비할 수 있는 기회를 미래로 연기하게 되면 적절한 대가를 요구하며, 이를 이자라고 한다. 이 때 현재의 현금에 대한 이자의 비율을 이자율, 할인율, 또는 수익률이라고 한다. 현재가치 + 이자 = 미래가치현재가치 x (1 + 이자율) = 미래가치미래가치 / (1 + 이자율) = 현재가치 2025. 4. 25.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