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시장참여자3 공정가치 측정 | 4. 부채와 자기지분상품의 공정가치 측정 공정가치측정은 측정일에 금융부채나 비금융부채 또는 자기지분상품(ex. 사업결합의 대가로 발행된 지분)이 시장참여자에게 이전되는 것을 가정한다. 동일한 또는 유사한 부채 또는 자기지분상품의 이전을 위한 공시가격을 이용할 수는 없으나 다른 상대방이 동일한 항목을 자산으로 보유하고 있는 경우, 부채나 지분상품의 공정가치는 측정일에 동일 항목을 자산으로 보유하고 있는 시장참여자의 관점에서 측정한다. 다른 상대방이 자산으로 보유하고 있는 부채나 자기지분상품의 공시가격은 그 부채나 지분상품의 공정가치측정에 적용할 수 없는 자산에 특정된 요소가 있는 경우에만 조정한다. 예를 들어, 부채의 경우, 자산의 가격이 발행자가 지급해야 하는 금액과 제3자의 신용보강으로 구성되는 묶음에 대한 결합가격을 반영하는 경우가 .. 2025. 5. 11. 공정가치 측정 | 3. 비금융자산의 공정가치 측정 비금융자산(ex. 토지나 건물 같은 유형자산이나 무형자산 등)의 공정가치를 측정하는 경우에는 시장참여자가 경제적 효익을 창출하기 위하여 그 자산을 최고 최선으로 사용하거나 혹은 최고 최선으로 사용할 다른 시장참여자에게 그 자산을 매도하는 시장참여자의 능력을 고려한다. 최고 최선의 사용은, 기업이 다르게 사용할 의도가 있더라도 시장참여자의 관점에서 결정된다. 그러나 시장참여자가 비금융자산을 다르게 사용하여 그 가치를 최대화할 것이라는 점을 시장이나 기타 요소가 제시하지 않는 한 기업의 비금융자산의 현재의 사용을 최고 최선의 사용으로 간주한다. 경쟁력있는 지위를 보호하기 위하여, 혹은 그 밖의 이유로 취득한 비금융자산을 활발히 이용하지는 않으려고 하거나 최고 최선으로 자산을 사용하지는 않으려고 할 수 있.. 2025. 5. 9. 공정가치 측정 | 2. 측정 공정가치측정은 자산을 매도하거나 부채를 이전하는 거래가 다음 중 어느 하나의 시장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가정한다. 자산이나 부채의 주된 시장자산이나 부채의 주된 시장이 없는 경우에는 가장 유리한 시장 주된 시장(principal market)은 해당 자산이나 부채에 대한 거래의 규모와 빈도가 가장 큰 시장을 말한다. 가장 유리한 시장(most advantageous market)은 거래원가나 운송원가를 고려했을 때 자산을 매도하면서 수취하는 금액을 최대화하거나 부채를 이전하면서 지급하는 금액을 최소화하는 시장을 말한다. 자산이나 부채의 공정가치를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주된 (또는 가장 유리한) 시장의 가격에서 거래원가는 조정하지 않는다. 거래 원가는 다른 기준서에 따라 회계처리한다. 거래원가.. 2025. 5. 1.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