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측정기준2 재무상태표 요소의 측정기준 | 2. 부채와 자본 측정기준 구분측정기준자산FVPL금융부채공정가치(평가손익은 당기손익. 단, 금융부채의 신용위험 번동에 따른 공정가치 변동은 기타포괄손익)AC금융부채상각후원가(유효이자율법 회계처리)충당부채최선의 추정치리스부채(리스이용자)리스이용자 리스료 현재가치(할인율은 내재이자율, 산정할 수 없으면 리스이용자 증분차입이자율)자본비지배지분(연결재무제표)공정가치 또는 종속기업의 식별가능한 순자산 중 비지배지분의 비례적 지분으로 측정(공정가치로 측정하면 비지배지분도 영업권 발생) 2025. 5. 11. 재무보고를 위한 개념체계 | 14. 측정기준 재무제표에 인식된 요소들은 화폐단위로 수량화되어 있다. 이를 위해 측정기준을 선택해야 한다. 측정기준은 측정 대상 항목에 대해 식별된 속성(ex. 역사적 원가, 공정가치 또는 이행가치)이다. 자산이나 부채에 측정기준을 적용하면 해당 자산이나 부채, 관련 수익과 비용의 측정치가 산출된다. 유용한 재무정보의 질적 특성과 원가제약을 고려함으로써 서로 다른 자산, 부채, 수익과 비용에 대해 서로 다른 측정기준을 선택하는 결과가 발생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개별 기준서에는 그 기준서에서 선택한 측정기준(ex. 재고자산 기준서의 순실현가능가치)을 적용하는 방법이 기술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개념체계는 측정기준을 역사적 원가와 현행가치로 분류하며, 현행가치 측정기준은 다음을 포함한다. 공정가치자산의 사용가치 .. 2025. 4. 25.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