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용한 지식/경영경제금융투자

공정가치 측정 | 1. 공정가치의 정의

by 브릭커 2025. 5. 1.
반응형

 공정가치(fair value)는 측정일에 시장참여자 사이의 정상거래에서 자산을 매도하면서 수취하거나 부채를 이전하면서 지급하게 될 가격을 말한다. 공정가치는 시장에 근거한 측정치이며 기업 특유의 측정치가 아니다.

 

 공정가치는 자산을 보유하거나 부채를 부담하는 시장참여자의 관점에서 측정일의 유출가격이다. 즉, 자산이나 부채를 제거한다고할 때의 가격이란 의미이다.

 

 1. 정상거래는 측정일 이전에 일정 기간 동안 해당 자산이나 부채와 관련되는 거래를 위한 통상적이고 관습적인 마케팅활동을 할 수 있도록 시장에 노출되는 것을 가정하는 거래. 즉 강제된 거래(ex. 강제 청산 또는 재무적 어려움에 따른 매각)가 아니다.

2. 기업은 시장참여자가 경제적으로 최선의 행동을 한다는 가정하에 시장참여자가 자산이나 부채의 가격을 결정할 때 사용하는 가정에 근거하여 자산이나 부채의 공정가치를 측정하여야 한다. 시장 참여자는 다음의 특성을 모두 가진 주된 (또는 가장 유리한) 시장의 매입자와 매도자를 말한다.
- 서로 독립적이다.
- 합리적인 판단력이 있다.
- 자산이나 부채에 대한 거래를 체결할 수 있다.
- 자산이나 부채에 대한 거래를 체결할 의사가 있다.

3. 기업특유의 측정치는 기업의 입장에서 추정한 가치이며, 사용가치와 순실현가능가치 같은 경우가 해당한다.

4. 거래가격자산을 취득하면서 지급하거나 부채를 인수하면서 수취하는 가격을 말하며, 거래가격은 유입가격이다.

 

 일부 자산과 부채의 경우 관측가능한 시장거래나 시장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다른 자산과 부채의 경우에는 관측가능한 시장거래와 시장정보가 이용가능하지 못할 수 있다. 그러나 두 경우 모두 공정가치측정의 목적은 현행 시장 상황에서 측정일에 시장참여자 사이에 자사늘 매도하거나 부채를 이전하는 정상거래가 일어나는 경우의 가격을 추정하는 것이라는 점에서 동일하다. 동일한 자산이나 부채의 가격이 관측가능하지 않을 경우 관련된 관측가능한 투입변수의 사용을 최대화하고 관측가능하지 않은 투입변수의 사용을 최소화하는 다른 가치평가기법을 이용하여 공정가치를 측정한다.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세 가지 가치평가기법은 시장접근법, 원가접근법 및 이익접근법이다.

 

 공정가치는 시장에 근거한 측정치이므로, 시장참여자의 위험에 대한 가정을 포함하여, 시장참여자가 자산이나 부채의 가격을 결정할 때 사용하게 될 가정을 사용하여 측정된다. 결과적으로 기업이 자산을 보유하고자 하는 의도나 부채를 결제 또는 이행하고자 하는 의도는 공정가치를 측정할 때 관련되지 않는다.

 

 공정가치의 정의는 자산과 부채에 중점을 두는데 이는 자산과 부채가회계애서 측정의 주요 대상이기 때문이다. 또한 공정가치측정 기준서는 공정가치로 측정되는 자기지분상품에도 적용된다. 

 

자기지분상품(발행주식)을 공정가치로 측정하는 예는 사업결합 대가로 발행되는 지분(이전대가)  또는 출자전환(지분상품을 발행하여 금융부채를 소멸시키는 것)으로 발행되는 지분이 해당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