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무형자산3 재무상태표 | 1. 재무상태표에 표시되는 정보 재무상태표(statement of financial position)에는 다음에 해당하는 금액을 나타내는 항목을 표시한다.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은 재무상태표 양식을 구체적으로 규정하고 있지는 않다. 유형자산투자부동산무형자산금융자산(단, 5번과 8번 및 9번은 제외)지분법에 따라 회계처리하는 투자자산생물자산재고자산매출채권 및 기타 채권현금및현금성자산기업회계기준서 제1105호 '매각예정비유동자산과 중단영업'에 따라 매각예정으로 분류된 자산과 매각예정으로 분류된 처분자산집단에 포함된 자산의 총계매입채무 및 기타 채무충당부채금융부채(단, 11번과 12번은 제외)기업회계기준서 제1012호 '법인세'에서 정의된 당기 법인세와 관련한 부채와 자산기업회계기준서 제1012호에서 정의된 이연법인세부채 및 이연법인세자산기업회.. 2025. 5. 11. 공정가치 측정 | 3. 비금융자산의 공정가치 측정 비금융자산(ex. 토지나 건물 같은 유형자산이나 무형자산 등)의 공정가치를 측정하는 경우에는 시장참여자가 경제적 효익을 창출하기 위하여 그 자산을 최고 최선으로 사용하거나 혹은 최고 최선으로 사용할 다른 시장참여자에게 그 자산을 매도하는 시장참여자의 능력을 고려한다. 최고 최선의 사용은, 기업이 다르게 사용할 의도가 있더라도 시장참여자의 관점에서 결정된다. 그러나 시장참여자가 비금융자산을 다르게 사용하여 그 가치를 최대화할 것이라는 점을 시장이나 기타 요소가 제시하지 않는 한 기업의 비금융자산의 현재의 사용을 최고 최선의 사용으로 간주한다. 경쟁력있는 지위를 보호하기 위하여, 혹은 그 밖의 이유로 취득한 비금융자산을 활발히 이용하지는 않으려고 하거나 최고 최선으로 자산을 사용하지는 않으려고 할 수 있.. 2025. 5. 9. 재무보고를 위한 개념체계 | 8. 자산의 정의 자산은 과거사건의 결과로 기업이 통제하는 현재의 경제적자원이다. 경제적자원은 경제적효익을 창출할 잠재력을 지닌 권리이다. 1. 권리 경제적효익을 창출할 잠재력을 지닌 권리는 다양한 형태를 갖으며, 다른 당사자의 의무에 해당하는 권리와 다른 당사자의 의무에 해당하지 않는 권리의 예는 다음과 같다. 다른 당사자의 의무에 해당하는 권리1) 현금을 수취할 권리 (ex. 매출채권, 미수금 등)2) 재화나 용역을 제공받을 권리 (ex.선급금, 선급비용 등)3) 유리한 조건으로 다른 당사자와 경제적자원을 교환할 권리. (ex. 현재 유리한 조건으로 경제적자원을 구매하는 선도계약 또는 경제적자원을 구매하는 옵션)4) 불확실한 특정 미래사건이 발생하면 다른 당사자가 경제적효익을 이전하기로 한 의무로 인해 효익을 얻을 권.. 2025. 4. 19.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