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일반목적재무보고서는 현재 및 잠재적 투자자, 대여자와 그 밖의 채권자가 필요로 하는 모든 정보를 제공하지는 않으며 제공할 수도 없다. 그 정보이용자들은, 예를 들어, 일반 경제적 상황 및 기대, 정치적 사건과 정치 풍토, 산업 및 기업 전망과 같은 다른 원천에서 입수한 관련 정보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만약 어떤 기업이 유럽에 수출을 많이 한다면, 그 기업에 대한 의사결정을 할 때는 유럽의 경제상황이나 정치상황 등도 고려한다는 의미이다. 유럽의 경제상황이나 정치상황 등은 기업의 일반목적재무보고서로 제공되는 정보가 아니고, 언론 보도 등을 통해서 입수할 수 있는 정보이다.
또한 일반목적재무보고서는 보고기업의 가치를 보여주기 위해 고안된 것이 아니다. 그러나 그것은 현재 및 잠재적 투자자, 대여자와 그 밖의 채권자가 보고기업의 가치를 추정하는 데 도움이 되는 정보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기업의 재무상태표 자산 총겐는 100억이고 부채의 총계는 40억이라면 자본총계는 60억이다. 이 경우 반드시 기업가치(자산시가)는 100억이고, 주식의 시가총액은 60억이 되는 것이 아니다. 일반적으로 주식의 시가총액은 재무상태표 자본총계보다는 크다. 따라서 기업의 재무상태표 자본이 60억이라고 해서 주식의 시가총액이 60억이라고 생각해서는 안 되지만, 자산총계가 100억이고 자본총계가 60억이라는 정보는 기업가치(자산시가)와 주식의 시가총액을 추정하는 데 도움이 된다.
각 주요이용자들의 정보 수요 및 욕구는 다르고 상충되기도 한다. 회계기준위원회는 회계기준을 제정할 때 주요이용자 최대 다수의 수요를 충족하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다. 그러나 공통된 정보 수요에 초점을 맞춘다고 해서 보고기업으로 하여금 주요이용자의 특정 일부에게 가장 유용한 추가 정보를 포함하지 못하게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주당이익은 주주에게 가장 유용한 정보이다.)
재무보고서는 정확한 서술보다는 상당 부분 추정, 판단 및 모형에 근거한다. 개념체계는 그 추정, 판단 및 모형의 기초가 되는 개념을 정한다. 이 개념은 회계기준위원회와 재무보고서의 작성자가 노력을 기울이는 목표이다. 대부분의 목표가 그러하듯 이상적 재무보고에 대한 '개념체계'의 비전은 적어도 단기간 내에 완전히 달성될 가능성은 낮다. 거래와 그 밖의 사건을 분석하는 새로운 방식을 이해하고, 수용하며, 실행하는 데 시간이 걸릴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재무보고가 그 유용성을 개선하기 위해 발전해야 한다면 지향할 목표를 수립해야 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1. 서술은 재무제표 작성하는 것을 의미하며, 모형은 유형자산의 감가상각방법(정액법, 정률법 등)이나 재고자산 원가흐름가정(선입선출법, 평균법 등)을 말한다.
2. 추정, 판단 및 모형의 기초가 되는 개념은 재무제표를 작성하는 것과 관련되므로, 회계기준위원회(기준서 제정 및 개정)와 재무보고서의 작성자가 노력을 기울이는 목표이다. 만약 회계기준위원회와 재무보고서의 이용자가 노력을 기울이는 목표라고 하면 틀린 문장이 된다.
반응형
'유용한 지식 > 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무보고를 위한 개념체계 | 5. 유용한 재무정보의 질적특성 (0) | 2025.04.18 |
---|---|
재무보고를 위한 개념체계 | 4. 재무보고의 정보 (0) | 2025.04.17 |
재무보고를 위한 개념체계 | 2. 일반목적재무보고의 목적 (0) | 2025.04.16 |
재무보고를 위한 개념체계 | 1. 목적과 위상 (0) | 2025.04.16 |
외부감사제도 (1) | 2025.04.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