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당기손익4 포괄손익계산서 | 4. 기타포괄손익 기타포괄손익(other comprehensive income)은 다른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서에서 요구하거나 허용하여 당기손익으로 인식하지 않은 수익과 비용항목을 말하며, 재분류조정을 포함한다. 재분류조정(reclassification)은 당기나과거 기간에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되었으나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된 금액을 말한다. 재분류조정은 재평가잉역므의 변동이나 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요소에 의해서는 발생하지 않는다. 이러한 구성요소는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하고 후속 기간에 당기손익으로 재분류하지 않는다. 또한 현금흐름위험회피나 옵션(또는 선도계약의 선도요소나 금융상품의 외화통화기준스프레드)의 시간가치의 회계처리로 인해 현금흐름위험회피적립금이나 지분의 별도구성요소에서 제거되어, 자산과 부채의 최초원가나 그 밖의 장부.. 2025. 5. 13. 공정가치 측정 | 5. 최초 인식 시의 공정가치 자산이나 부채의 교환 거래에서 자산을 취급하거나 부채를 인수하는 경우, 거래가격(transaction price)은 자산을 취득하면서 지급하거나 부채를 인수하면서 수취하는 가격이다. 이와 반대로 자산이나 부채의 공정가치는 자산을 매도하면서 수취하거나 부채를 이전하면서 지급하게 될 가격이다. 거래가격은 유입가격이며, 공정가치는 유출가격이다. 많은 경우에 거래가격은 공정가치와 동일할 것이다. 예를 들어 거래일에 자산을 구입하는 거래가 그 자산을 매도하게 될 시장에서 반드시 자산을 매도하는 것은 아니다. 이와 유사하게 부채를 인수하면서 수취하는 가격으로 반드시 부채를 이전하는 것은 아니다. 다음 상황 중 하나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거래가격이 최초 인식 시 자산이나 부채의 공정가치를 나타내지 못할 수 있다. .. 2025. 5. 11. 재무보고를 위한 개념체계 | 16. 자본 및 자본유지의 개념 자본유지개념은 기업이 유지하려고 하는 자본을 어떻게 정의하는지와 관련된다. 자본유지개념은 이익이 측정되는 준거기준을 제공함으로써 자본개념과 이익개념 사이의 연결고리를 제공한다. 자본유지개념은 기업의 자본에 대한 투자수익(이익)과 투자회수(유지할 자본)를 구분하기 위한 필수요건이다. 자본유지를 위해 필요한 금액을 초과하는 자산의 유입액만이 이익으로 간주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자본의 투자수익이 된다. 자본거래가 없다면 당기 중에 증가한 자본금액이 투자수익(이익)이 된다. 즉, 기말자본ㅌ에서 기초자본(유지할 자본)을 차감한 금액이 이익이 된다. 자본유지개념의 투자수익(이익)(자본거래가 없다면)= 기말자본 - 기초자본(유지할 자본) 1. 자본의 개념 대부분의 기업은 자본의 재무적 개념에 기초하여 재무제표를 .. 2025. 4. 25. 재무보고를 위한 개념체계 | 15. 표시와 공시 보고기업은 재무제표에 정보를 표시하고 공시함으로써 기업의 자산, 부채, 자본, 수익 및 비용에 관한 정보를 전달한다. 재무제표의 정보가 효과적으로 소통되면 그 정보를 보다 목적적합하게 하고 기업의 자산, 부채, 자본 수익 및 비용을 충실하게 표현하는 데 기여한다. 또한 이는 재무제표의 정보에 대한 이해가능성과 비교가능성을 향상시킨다. 한편, 원가가 다른 재무보고 결정을 제약하는 것처럼 표시와 공시의 결정도 제약한다. 따라서 표시와 공시를 결정할 때 특정 정보를 표시하거나 공시함으로써 재무제표이용자들에게 제공되는 효익이 그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하는 데 드는 원가를 정당화할 수 있는지를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1. 표시와 공시의 목적과 원칙 재무제표의 정보가 쉽고 효과적으로 소통되기 위해 개별 기준서의.. 2025. 4. 25. 이전 1 다음 반응형